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2023 청년도약계좌 vs 2022 청년희망적금 비교!

돈공부하자

by SoyezRiche 2023. 3. 22. 01:50

본문

반응형

오는 2023년 6월, '청년도약계좌'가 출시 예정으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, 지난해 2월에 출시되어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'청년희망적금'도 다시 한번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 

☞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바로가기 ☜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가지 정부지원사업에 대해 공통점 및 차이점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선 두 계좌 모두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라는 데에 목적이 같습니다. 하지만 청년희망적금 가입자의 경우, 청년도약계좌에 동시가입은 불가능하지만 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!  

청년희망적금 만기 후,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! 
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둘 다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를 적용받는다는 혜택이 있습니다. 그러나 차이점도 분명 있는데요, 위의 표에서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총 급여 7,500만 원 이하 개인소득 기준에 중위 180% 이하의 가구소득 기준도 충족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. 반면 청년희망적금은 개인소득 기준만 있었죠. 

 

또한,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 원까지만 납입이 가능했던 반면, 올해 진행될 청년도약계좌는 월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. 물론, 납입액에 대한 정부기여금이 달라집니다. 

 

만기도 차이가 있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처음 공약이었을 때에는 10년을 목표로 했지만, 예산을 이유로 5년으로 조정되었죠. 청년희망적금은 2년으로 비교적 짧았습니다. 둘 다 장단점이 있겠죠. 

 

금리는 아직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확정되지 않았기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습니다. 청년희망적금의 기본금리는 연 5%인 점을 비교해볼 때, 적어도 5%는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 

 

정부 지원금 방식에 대해서는 금융당국 관계자가 "확정되지는 않았지만, 자주 지급하려고 한다"고 밝힌 바가 있기 때문에 만기 2년을 채우면 한 번에 기여금을 지급하는 청년희망적금과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 

 

청년희망적금은 추가 신청을 받지 않으므로, 오는 6월에 시행될 청년도약계좌를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! 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